VPC, Subnet 의 Route Table
Main Route Table
VPC 는 디폴트로 라우트 테이블을 가진다.
예)
목적지 | 타겟 |
10.10.0.0/16 | Local |
VPC 아래 각각의 AZ 내 각각의 Subnet 내 인스턴스들은 라우트 테이블을 별도로 설정하지 않아도
상위의 메인 라우트 테이블을 보고,
서로가 Local Router 에 의해 통신가능
10.10.0.15 <-> 10.10.1.11
Internet gateway 를 다는 경우,
목적지 | 타겟 |
10.10.0.0/16 | Local |
0.0.0.0/0 | Internet Gateway |
각각의 서브넷에 Route Table 을 두는경우에는 메인 라우트 테이블을 안따르고
오버라이드 되어 자신의 라우트 테이블을 따른다.
그러므로 같은 VPC 내에 나란히 있는 서브넷이어도 어떤 서브넷은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고, 나머지 하나는 아닐 수 있다.
즉,
퍼블릭 서브넷
NAT, 웹서버, 로드밸런서등이 위치하는 곳으로, 라우트 테이블에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있다.
프라이빗 서브넷
퍼블릭에 노출되지 않는 DB, server application 들이 위치하는 곳으로, 라우트 테이블에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포함하지 않음.
IPs
서브넷 당 5개의 IP 가 reserved 이므로 전체 가용한 IP - 5 로 생각하면 된다.
Private IP
subnet 의 private IP range 에서 구성이되며, 한 번 assign 되면 바뀌지 않음. 인스턴스가 terminated 될때만 release.
EC2 instance launch 시 자동으로 할당됨
Public IP
Region 의 Amazon pool 로부터 할당 받음. restart 할 때마다 바뀜. stop 혹은 terminated 될 때 release.
EC2 instance 시작시 public ip 사용 옵션인경우 할당됨
Elastic IP
Region 의 Amazon pool 로부터 할당 받음. 안바뀜. Release 할 수 있으나 사용료가 나가는 상태고 그 아이피를 다른 인스턴스 대상으로 매핑 재사용할 수 있다.
'IT > Backend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기반 네트워크 최적화 (0) | 2025.05.21 |
---|---|
[aws] networking #3 (0) | 2023.04.03 |
[aws] networking #1 (0) | 2023.03.25 |
[GCP] firewall 설정을 해도 인스턴스에 반영이 되지 않는 경우 (0) | 2021.10.02 |
카프카를 쓰는 이유 (0) | 2021.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