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 운영을 위한 기록 노트이다.
[네이버 rss 및 사이트 맵 등록]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https://searchadvisor.naver.com/ > 사이트 등록 >
소유 태그 등록을 위해 티스토리 스킨 편집 > HTML 편집 > HTML 편집에서 <head></head> 사이 tag 내에 넣기
이렇게 등록된 사이트 명을 클릭 하면 rss 등록 및 sitemap 등록 가능한 메뉴가 보임
본인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 + rss , sitemap.xml 으로 등록하면 됨
[구글 서치 등록]
https://search.google.com/search-console/about?hl=ko
Google Search Console
Search Console 도구와 보고서를 사용하면 사이트의 검색 트래픽 및 실적을 측정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Google 검색결과에서 사이트가 돋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search.google.com
사이트 등록 (url 접두어로) > 소유권확인. 밑의 html tag 이용 > 마찬가지로 티스토리 스킨 편집으로 태그 삽입 후 저장 후 구글에서 verify 클릭
왼쪽에 사이트맵 메뉴가 있는데 들어가서 rss 및 sitemap.xml 등록하면 끝!
[Bing 서치 등록]
구글이나 네이버 조차 들어가기도 귀찮을때 기본 검색엔진이 빙으로 되어있다면 은근 쓰일 수 있다.
구글등록을 완료했다면 가장 쉬움
Bing 웹 마스터 도구
www.bing.com
google 로그인만 하고 시키는대로 하면 google search console 에서 등록한 것을 가져올 수가 있다.
[다음]
https://register.search.daum.net/index.daum
Daum - 검색등록
Daum 검색등록 사이트 검색을 무료로 등록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언제든 정보보완 수정이 가능하며, 등록 후에는 Daum 검색결과에 노출되어 수많은 네티즌들이 방문하게 됩니다. 신규등록하기
register.search.daum.net
에서 신규 등록 > 사이트 로 선택후 URL 등록을 한다
사이트가 아닌 블로그로 등록하려고 하면 다음이나 티스토리는 등록안해도 자동으로 검색노출 됩니다 라고 나온다.
'IT > Blog 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sense] GDPR 이 뭔데? (0) | 2024.01.01 |
---|---|
수식 입력기 (0) | 2023.04.15 |